시사상식/역사
-
김헌창의 난 의의와 한계 & 에피소드 (김헌창의 난 Part.4)시사상식/역사 2023. 9. 7. 11:38
'김헌창의 난' 에피소드 1. 관련자 처벌 전국을 뒤집어 놓은 대규모 반란의 진압 후 처벌은 어땠을까. 엄청난 피바람이 불어야 맞지 않을까. 흥미롭게도 김헌창의 난은 달랐다. 주모자인 김헌창은 자살해 처벌을 받지 못했다. 대신 그의 친척과 따르던 무리 239명을 죽였다고 한다. 이 정도는 '반란' 실패에 따른 당연한 결과다. 여러 군대가 모두 웅진(熊津)에 도착하여 반란군과 크게 싸웠는데, 목을 베어 죽이거나 사로잡은 적군을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다. 헌창이 겨우 몸을 피하여 성안에 들어가 수비를 견고히 하자, 여러 군대가 성을 포위하여 공격한 지 10일 만에 성이 막 함락되려 하였다. 헌창이 벗어날 수 없음을 알고 스스로 목숨을 끊자, 종자(從者)가 목을 베어 머리와 몸을 각각 다른 곳에 묻었..
-
김헌창에게 '공주(웅천주)'란? 반란의 시작과 끝 (김헌창의 난 Part.3)시사상식/역사 2023. 9. 6. 22:59
반란의 전개와 결과1. 김헌창의 난과 '웅천주'3월에 웅천주(熊川州) 도독(都督) 헌창(憲昌)이 아버지 주원(周元)이 왕이 되지 못한 것에 불만을 가지고 반란을 일으켰는데... 삼국사기 헌덕왕 14년(822)앞선 포스팅에서 살펴봤던 김헌창의 불만. 결국 김헌창은 헌덕왕 14년 웅천주(지금의 공주)에서 반란을 일으킨다. 왜 하필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켰을까? 두 가지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 웅천주 지역에서의 '김인문' 자손 김헌창의 영향력 우리는 이번 김헌창의 난 포스팅의 Part1에서 김헌창의 직계 조상인 '김인문'이 태종 무열왕의 둘째 아들이란 것을 확인했다. 잠시 시계를 돌려 삼국통일 시기로 가보자. 신라의 통일은 태종 무열왕 시기에 시작(660년 백제멸망)해서 문무왕(668년 고구려멸망) 때..
-
내물왕계 신라판 수양대군의 등장(김헌창의 난 Part.2)시사상식/역사 2023. 8. 27. 06:00
반란의 배경 21. 무열왕계 vs 내물왕계 지난 포스팅에선 김헌창이 누구이고, 왜 반란을 일으켰을지 분석해 봤다. 김헌창의 아버지 김주원은 무열왕의 혈통으로 왕위 0순위였다. 하지만 상대등 김경신이 먼저 손을 써서 왕위에 올랐다. 그가 '원성왕'이었다. 단순히 왕위를 빼앗긴 문제가 아니다. 신라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이었다. 603년 태종 무열왕 김춘추가 왕위에 오르고 난 후 785년 선덕왕이 승하할 때까지. 약 180여 년간 무열왕의 핏줄이 신라왕위를 이어왔다.(선덕왕의 경우 모계가 무열왕계) 원성왕은 신라 내물왕의 11대손 혹은 12대손이라고 한다. 최소 180년간 왕위는 꿈꿔보지 못한 핏줄이었다.(그래도 내물왕의 피가 흐르니 왕족이다.) 무열왕의 피가 섞이지 않은 내물왕의 핏줄을 구분하기 위해 "내물..
-
'김헌창'의 혈통은 '무열왕계'다 (김헌창의 난 Part.1)시사상식/역사 2023. 8. 24. 01:05
‘김헌창의 난’이란? 약 천년 간의 오랜 기간 존속한 신라. 삼국 통일 후 강력한 왕의 권위로 통치한 '중대'라는 시기. 신라가 혼란해지는 '하대'의 시기를 가르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 있다. 바로 이번 포스팅 주제인 '김헌창의 난'이다. 이번 포스팅의 내용은 "김헌창의 난이란?"같은 막막하고 따분한 주제보다는 좀 더 디테일한 주제에 초점을 맞춘다. 천년의 신라 역사, 수많은 반란이 있었다. 그중 학계에서 주목하는 반란, 혹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반란이 몇 개 있다. (김흠돌의 난, 김헌창의 난, 장보고의 난, 원종 애노의 난 등) 신라의 수많은 반란 중, 왜 이 몇 개의 반란에 주목하고 있을까? 이번 포스팅에선 '김헌창의 난'이 주목받는 이유를 집중해부해볼까 한다. 먼저 김헌창의 난. 대체 뭘까. 간..